한·일 연성기판 대회전 `임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3 10:45
본문
Download : 20030627-.jpg
이 회사는 또 빌드업 공법을 응용, 코어층은 2∼6층이면서 빌드업층은 양면 2층까지 가능한 제품을 개발, 미세패턴의 수요에 적극 대응해 올해 1280억엔의 매출을 달성, 시advantage유율을 높일 계획이다.
한·일 연성기판 대회전 `임박`
레포트 > 기타
순서





삼성전기는 이달부터 휴대폰용 등 RF기판을 대전사업장에서 생산, 다음달부터 라인선폭이 75/75㎛급 패턴의 4층짜리와 6층짜리 RF기판을 8개 업체에 공급한다. <안수민기자 smahn@etnews.co.kr>
LG전자는 지난달부터 청주사업장에서 4층 이상의 다층 연성기판을 생산, 지난달부터 적지만 실질적인 매출을 올리고 있다. 이 회사 한 관계자는 “연성시장에 첫 진출한 만큼 올 연말까지 월 10억원 가량의 매출을 달성한다”고 밝혔다.
설명
Download : 20030627-.jpg( 99 )
연성기판은 휴대폰·디지털카메라·디지털캠코더 등 응용분야 확대에 따른 수요 창출로 향후 5년간 30%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되는 만큼 이를 잠식하려는 한국업체들과 저지하려는 日本(일본)업체들의 쟁탈전이 치열할 전망이다. 또 국내 세트업체를 대상으로 품질승인을 진행중에 있어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는 한편 현재 8000㎡(다층기기준) 규모의 설비를 증설하는 투자도 적극 검토하고 있다.
한·일 연성기판 대회전 `임박`
삼성전기·LG전자·대덕GDS 등 국내 경성기판 메이저들이 이번 달을 전후로 다층 연성 및 연경성(Rigd Flexible) 기판을 생산하기 스타트하자 이 분야에서 확고한 아성을 구축한 멕트론·후지쿠라 등 日本(일본) 유수업체들이 설비투자에 나서는 등 바짝 긴장하고 있다.
한·일 연성기판 대회전 `임박`
이에 대응, 세계 연성기판 시장의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日本(일본) 멕트론은 휴대폰용 다층 연성기판의 증설을 위해 이바라키에 68억엔(57만달러)을 투자하고 9월부터 신공장을 본격적으로 가동한다고 최근 발표했다.
다. 이와 함께 대덕전자는 대덕GDS의 연성기판을 이용해 RF기판을 생산할 계획이다.
한·일 연성기판 대회전 `임박`
日本(일본) 후지쿠라는 이달 초 늘어나는 다층 연성기판 선점을 위해 태국 생산기지에 22억바트를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이 공법을 활용한 연성기판은 3세대 휴대폰에 적합할 뿐더러 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고 회사측은 밝혔다. 또 빌드업 공법을 이용한 RF기판 개발도 진행하고 있다. 이 회사는 증설이 끝나면 태국공장의 생산능력이 연간 약 25만㎡ 더 늘어나게 돼 올해 450억엔, 2005년 770억엔의 매출을 달성해 연성기판 시장에서 확고한 우위를 지킬 방침이다. 이 회사의 RF기판은 빌드업 공법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전자회로 설계가 편리하고 실장 면적을 20% 가량 축소한 것은 물론 4개 RF기판 위에 부품을 동시에 실장할 수 있게끔 해 세트업체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 advantage이다. 이 회사는 독자기술인 네오맨하턴범프인터커넥션(NMBI) 공법을 연성기판에 접목한 제품개발을 완료한 가운데 샘플테스트를 진행중에 있다.
대덕GDS도 지난 4월부터 1층 및 3층짜리 연성기판을 생산, 해외바이어에 소량 공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