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학행정] 이익분배 제도 / 이익분배 제도 (profit sharing plan) Ⅰ. 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6 11:56
본문
Download : 이익분배제도, 이익분배제도(pro.hwp
Ⅱ. 형태 . 현금분배계획(cash distribution plan) 이익을 분기별 혹은 연도별 현금으로 지급하는 것인데 그 기간이 길수록 동기부여의 effect가 감소한다. 즉 기...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법학행정 이익분배 제도 / 이익분배 제도 profit sharing plan Ⅰ. 서
이익분배제도(profit - sharing plan) Ⅰ. 서설 이익분배...
[법학행정] 이익분배 제도 / 이익분배 제도 (profit sharing plan) Ⅰ. 서
순서
다. 말하자면 성과급제는 개인의 작업능률과 직결된 임금계산방법인데 비하여 이익분배제는 기업이익과 관련되어 사전적으로 그 실시가 결정된 종업원의 이익배당제도인 것이다.
Download : 이익분배제도, 이익분배제도(pro.hwp( 72 )
이익분배제도(profit - sharing plan) Ⅰ. 서설 이익분배...
설명
이익분배제도(profit - sharing plan) Ⅰ. 서설 이익분배제도란 기본적 보상이외에 각 영업기마다 결산이익의 일부를 종업원에게 부가적으로 지급하는 제도. 1842년 프랑스의 도장공 그 클레르에 의해 처음 시도되었던 그 목적은 노동관계의 개선, 작업능률의 증진, 종업원의 생활안정이었다 그런데 이익분배제는 일반적인 성과급제와는 구별되어야 한다.. 이연지급계획 이익을 즉시 지급하지 않고 퇴직, 해고 등 특정한 사유가 발생시에 지급하는 계획인데 세금의 effect가 크기 때문에 대부분이 이방법을 택하고 있다아 . 혼합계획 현금분배계획과 이연지급계획을 절충한 형태이다 Ⅲ. effect 및 제약점 . effect 기업측과 종업원과의 협동정신을 함양 강화하여 노사관계 개선에 도움이 된다 그리고 종업원은 자기의 이익배당액을 증가시키기위해 작업에 열중하므로 능률증진을 기할수 있으며 이익배당참여권과 분배율을 근속년수와 관련시킴으로써 장기근속을 장려하게 된다 . 제약점 수입안정성이 적고 분배는 결산기에 확정되므로 작업능률의 자극effect가 부족해질수 있으며 기업이익의 증감이 종업원이 아닌 기업측의 능력이나 기업외적인 environment(환경) 요인에 의해 좌우되기도 한다. 회계처리조작으로 결산이익을 조정할수 있다아 Ⅳ. 전략(strategy)적 도입measure(방안) . 제도도입시 고려사항)급여수준(pay level) 계획 종업원의 급여총액을 주요 경쟁사 및 외부시장의 급여수준과 비교하여 충분히 경쟁력 있는 수준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급여구성(pay mix) 계획 급여총액대비 이익분배액의 비중을 어느정도로 할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